2030 세대를 중심으로 '청약통장 무용론'이 확산하면서 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빠르게 줄고 있다. 공사비 인상에 따른 분양가 급등,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인한 자금 부담, 치솟은 당첨 가점 등 삼중고에 청년층이 당첨 가능성을 낮게 보고 청약 시장에서 이탈하는 모습이다.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주택 청약통장 가입자는 2636만630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대비 11만8922명, 2022년 7월 최고치(2858만1171명)와 비교하면 221만명 이상 줄었다.2030 젊은세대들의 청약통장 이탈이 뚜렷하다. 지난해 30대의 청약통장 해지 건수는 76만좌로 전년 대비 11만좌 증가했고, 20대 역시 같은 기간 31만좌 늘어난 82만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청약통장 가입자들의 이탈은 분양가가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규제지역 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최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출 규제 이후 자금 마련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최근 1년간 전국 아파트 ㎡당 분양가(공급면적 기준)는 597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589만5000원) 대비 1.31%, 전년(568만1000원) 대비 5.11% 상승한 수치다. 분양가를 3.3㎡(평)당으로 환산하면 1974만2000원에 달한다. 주택 수요가 가장 많은 서울의 경우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당 1374만5000원, 평당 환산 시 약 4543만원에 이른다. 전월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청약 가점 인플레이션도 주요 원인이다. 지난 1월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서울 성동구 '오티에르 포레' 84㎡A 타입은 당첨 최저 가점이 76점이었다. 또 6월 분양한 강동구 '고덕강일 대성 베르힐'도 84㎡A 타입 최저 당첨 가점이 71점에 달했다.청약통장 가점 점수는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수, 통장 가입 기간 등으로 정해진다. 84점 만접을 받기 위해서는 본인 제외 부양가족 6명 이상(35점), 무주택 기간 15년 이상(32점), 청약 통장 가입 기간 15년 이상(17점)이어야 한다. 가구별로 받을 수 있는 최대 점수는 4인 가구 69점, 5인 가구 74점, 6인 가구 79점, 7인 가구 이상 84점이다. 1~2인 가구가 대부분인 청년층의 당첨이 사실상 어렵다.정부는 청약통장 납입금 재원으로 조성되는 주택도시기금의 규모가 줄어들지 않도록 청약통장 소득공제 한도를 연 24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확대하고, 금리 상향, 세액공제 확대, 미성년자 납입 인정기간 확대 등 혜택을 늘렸다. 최근에는 청년·신혼부부가 청약에 당첨되면 3억~4억원까지 저리로 대출해주는 '청년주택드림대출' 상품도 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