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존 클라크 미국 UC 버클리 교수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행정부의 과학 연구비 삭감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그는 해당 조치가 미국의 과학계를 마비시킬 수 있는 "재앙"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현지시간 7일, 노벨상 수상 발표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클라크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해 “미국 과학 연구 대부분을 마비시킬 것”이라며,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진짜 재앙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그는 “설령 이번 행정부가 물러난다 해도, 과학계가 예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데에는 최소 1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며, “이건 과학자라면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직후인 2024년 1월, 연구소와 대학에 제공하던 연방정부의 연구 지원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이에 따라 국립보건원(NIH), 국립과학재단(NSF) 등 주요 연구기관에서 대규모 해고 사태가 벌어졌으며,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대학과 병원, 연구소 등도 타격을 입었다.NIH는 매년 500억 달러(약 70조 원) 이상을 미국 전역의 연구기관에 지원하는 핵심 기관이며, NSF 역시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의 기초연구를 뒷받침해왔다. 이들 기관의 지원 축소는 젊은 연구자 양성과 혁신 생태계 전반에 큰 타격을 줬다는 평가다.이번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클라크 교수는 1980년대 UC 버클리 연구실에서 함께 일했던 미셸 드보레(예일대), 존 마티니스(UC 샌타바버라) 교수와 함께 거시 규모의 양자역학적 효과를 연구해 물리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그는 “당시 우리는 대학원생 조교, 실험실 공간, 연구 장비까지 충분히 지원받으며 연구에 몰입할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우리 연구가 그때는 ‘무슨 의미가 있을지’ 아무도 몰랐지만, 결과를 예측할 수 없기에 기초과학은 반드시 이어져야 한다”며 기초연구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또 “단순한 기초과학이 언젠가는 핵심 응용 기술로 발전할 수 있다”면서,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