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채권전문가 85% “10월 금통위 금리 동결 전망…수도권 부동산 상승 영향”

이번 조사는 10월 13~16일 시장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종합 BMSI는 111.5로 전월(99.1) 대비 12.4포인트 상승했다. 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등 글로벌 변동성은 확대됐지만, 경기 둔화 우려 속에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보다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금리 전망을 묻는 금리전망 BMSI는 151.0(전월 115.0)으로 대폭 상승했다. 금리 하락 응답 비율이 55%로 전월(34%) 대비 21%포인트 늘었고, 금리 상승 응답은 4%로 전월(19%)에서 15%포인트 줄었다. 시장이 11월 금리하락(혹은 하향 안정) 가능성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물가 BMSI는 85.0(전월 70.0)으로 개선됐다. 유가·수입물가 상승으로 물가상승 압력은 남아 있지만, 내수 소비 둔화가 이어지며 물가 상승 응답 비율은 22%로 전월(34%)보다 12%포인트 감소했다. 물가 하락 응답은 7%로 전월(4%) 대비 3%포인트 늘었다.
반면 환율 BMSI는 54.0(전월 91.0)으로 악화됐다. 한미 무역협상 장기화 속 달러/원 환율이 1430원대까지 오르는 등 변동성이 커지며 환율 상승 응답 비율이 49%로 전월(20%)보다 29%포인트 뛰었다. 환율 하락 응답은 3%로 전월(11%) 대비 8%포인트 줄었다.
금투협은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된 가운데 기준금리 동결 전망이 우세하고, 채권시장에선 금리 하락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며 “물가와 환율에 대한 경계는 유지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법원장 사퇴 압박 높이는 與…"대선개입" 주장만 되풀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마켓인
지젤·닝닝, 화보 같은 투샷...시크美 장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미, 2000억달러 8~10년 분할투자 가닥…타결은 ‘산 너머 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개미만 모르는 위험신호...국민연금, LG화학에 비공개 경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큐리언트가 기술수출한 ‘텔라세벡’, 부룰리궤양 임상서 환자 전원 완치 확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